영화 <소꿉놀이> - '스물셋 그녀의 결혼과 육아, 그 민낯을 드러내다'

스물 세 살의 여자가 의도치 않은 혼전 임신으로 결혼을 하고 엄마가 된다. 자립할 능력이 없다 보니 남편의 집에서 시댁 식구들과 함께 신혼살림을 시작할 수밖에 없다. 아이가 태어나고 난 뒤에는 그야말로 몸이 열 개라도 부족할 정도다. 집안일과 육아에 치이면서도 돈을 벌고 꿈을 위해 공부도 해야 한다. 설상가상으로 뮤지컬 배우였던 남편은 요리사가 되겠다며 일본 유학을 떠나기로 한다. 다큐멘터리 영화 ‘소꿉놀이’가 그리는 주인공 수빈의 실제 이야기다.

김수빈 감독은 우리 주위 어디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가족의 모습을 담담하게 카메라에 담았다. 시댁과 친정, 시어머니와 남편의 모습이 시시각각 교차되고 이 와중에 중간에 낀 수빈의 미묘한 입장도 여과없이 드러난다. 그는 내내 힘들어 죽겠다고 하소연하지만 그러면서도 가족 모두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인다. 이 작품이 철없는 새댁의 영상일기로 그치지 않고 객관성을 갖춘 의미있는 다큐멘터리가 될 수 있었던 건 그 때문이다.

예술가 집안에서 태어나 자유로운 영혼으로 살아온 수빈이 갑작스레 엄마이자 아내, 며느리가 되어가는 과정은 지극히 현실적인 결혼 이후의 모습이다. 딸 노아는 프리랜서로 일하는 수빈에게 다가와 안아달라고 보채고 밤낮없이 울어대며 수빈의 잠을 방해한다. 수빈의 깔끔하지 못한 성격에 방안은 항상 엉망진창이고 이로 인해 남편과 부딪치기도 한다. 참다 못한 수빈이 남편 앞에서 눈물을 터뜨리며 “나는 그냥 나”라고 울부짖는 장면에서는 감당하기 힘든 ‘어른’의 무게가 그대로 드러난다.

감독의 센스가 보여지는 재치있는 편집 또한 ‘소꿉놀이’에서 빼놓을 수 없는 매력이다. 무덤덤한 어조로 이어지는 수빈의 나레이션과 더불어 곳곳에서 보여지는 코믹한 자막과 애니메이션이 예상치 않은 웃음을 자아낸다. 특히 출산 후 요실금을 겪는 일, 아기가 시도때도 없이 구토를 하는 일 등을 직접 그린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한 장면은 영화의 백미다. 자칫 신파로 흐를 수 있는 이 작품의 감정선이 좀 더 폭넓어 질 수 있었던 이유다. 그러니까 '소꿉놀이'는 비단 결혼을 앞둔 여성 뿐만이 아닌, 가족이라는 울타리에 속한 모든 이들의 공감을 자아내기에 충분한 영화다. 2016년 2월 25일 개봉.

누군가의 무언가.
Follow
4.7 Star App Store Review!
Cpl.dev***uke
The Communities are great you rarely see anyone get in to an argument :)
king***ing
Love Love LOVE
Download

Select Coll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