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포름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는 화장품을 미생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보존제방부제로 쓰입니다. 담배의 성분이기도 한 포름알데히드는 호흡기 관련 발암물질로 널리 알려졌는데요. 그러나, 본래 포름알데히드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물질로, 적정량만 취한다면 안전성이 검증된 성분이라고 해요.
과일과 돼지고기, 어패류, 등에도 일정량의 ppm이 존재하고, 청량한 숲에도 미량의 포름알데히드는 존재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적정 함유량인 경우에만 안전하기에 화장품 뒷면의 성분 함량 수치를 꼭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탈크
탈크는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활석이라고도 불리며 하얗고 부서지기 쉬운 부드러운 광석입니다. 조금 듣기에는 낯선 물질이긴 하지만, 사실 일상 생활에서도 쉽게 탤크제품을 접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베이비파우더와 화장품, 초크, 크레용, 종이의 증감제, 껌, 페인트의 희석제를 꼽을 수 있구요. 화장품에는 주로 파우더 타입의 제품에 사용되며 땀이나 피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실 탤크는 그 자체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아요. 그러나 탤크를 채석하는 과정에서 ‘석면건축자재, 방화재, 보온재, 단열재, 전기절연재 등으로 사용. 세계보건기구(WHO)산하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지정한 1급 발암물질’이 생성된 부위까지 추출하게 될 경우에는 문제가 됩니다.
그 중에서도 석면은 탤크광석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열을 덜 받아 생기는 변성광물입니다. 즉 탤크와 석면이 한 덩이에 붙어 있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이 둘을 분리하는 문제가 화두가 되었죠 :(. 하지만 탤크와 석면은 육안으로도 뚜렷이 구분이 가능하기 때문에 석면이 검출될 확률은 희박하다는 게 업계의 전언이라고 합니다. 현재 각국은 석면 부여해 안전성에 대한 관리를 하고 있구요. 화장품에서 사용하는 탤크는 엄격한 함량 기준 아래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화장품업계의 통설이라고 해요.
3. 타르
타르는 목재, 석탄, 석유 따위의 유기물을 건류 또는 증류할 때 생기는 검고 끈끈한 액체를 의미합니다.
이미 많이들 아시겠지만 타르색소의 기원은 석탄에 있다고 해요. 석탄을 가열하면 검고 무정형의 코크Coke와 가스가 만들어지고, 이 가스를 온도별로 액화시키면 다양한 종류의 석탄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고 해요. 타르 색소 합성에 필요한 나프탈렌이나 벤젠도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기구요.
타르의 개발 목적은 섬유류의 착색을 위함이었으나, 식용색소와 화장품 등에도 활용되기 시작했는데요. 그러나 독성이 강하다는 결과가 나왔고, 타르색소는 적정량 이상을 섭취하는 경우 인체 내 소화효소의 작용을 저해하고 간이나 위에 장애를 일으키며, 발암성도 높다고 합니다.
현재 식품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는 타르색소는 15종 뿐이나, 화장품에 사용되는 타르색소는 식품타르색소를 포함해 그 종류가 더 다양합니다.
립스틱과 같이 섭취가 가능한 화장품에는 내복용타르색소(식용타르색소)가 사용되며,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등 눈주위 점막에 사용되는 외용타르색소와 브러셔 그리고 민감성이 덜한 볼 등 일반 피부에 사용되는 외용타르색소, 3가지로 분류됩니다.
타르색소의 유해성에 관한 이슈가 불거지고 있어요. 하지만 한국을 포함한 거의 모든 주요 국가들은 타르 색소를 사용할 시 스트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을 강조하여 위험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타르 색소에 어떤 종류가 있는 지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 식용 타르색소
1) 아조Azo계 색소: 오렌지색, 붉은색 계열
-적색2호, 황색 4호, 황색 5호, 적색 40호, 적색 102호
2) 잔텐Xanthene계 색소: 붉은색 계열
-적색 3호
3) 트리페닐메탄Triphenylmethane계 색소: 녹색 계열
-녹색3호와 청색 1호
4) 인디고이드Indigoid계 색소: 푸른색 계열
-청색 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