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전 세월호 침몰 해역인 전남 진도군 동거차도 앞바다에서 중국 인양업체인 상하이샐비지의 재킹바지선 두척이 세월호 인양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세월호가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인양작업은 진행 중…오전 11시 수면 13m까지 올려질 듯
세월호가 침몰된 지 3년, 정확히 1073일 만에 그 모습을 드러냈다.
지난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직후 침몰지점 44m 밑으로 가라앉아 있던 선체는 23일 새벽 3시 45분쯤 그 모습을 드러냈다.
본인양은 전날 오후 8시 50분부터 시작됐다. 세월호의 오른편에 위치해있던 '스테빌라이져', 즉 무게중심을 잡기위한 장치가 수면 위로 올라온 것을 시작으로 오전 7시, 세월호는 해저에서 22m 위까지 끌어올려졌다.
침몰지점 수심이 44m라는 점과 세월호의 폭이 22m인 것을 고려하면, 현재 선체가 수면과 맞닿아 있는 셈이다. 현재 1·2층 화물칸과 3·4층 객실, 5층 조타실·객실 등 세월호 우현의 전체 모습이 물 위로 비교적 명확하게 드러난 상태다.
(사진=해수부 제공)
배 이름인 'SEWOL(세월)'이라는 글씨는 지워져 보이지 않았다. 드러난 측면은 녹으로 뒤덮여 있는 등 부식이 심한 상태였다. 푸른 바다와 대조되는 불그스름한 색이다. 곳곳에는 암초 등에 긁힌 상처가 있다. 참사 이후, 미수습자와 구조물 유실을 막기 위해 설치한 촘촘한 그물망도 보였다.
오전 8시 인양작업 현장에서는 세월호와 바지선 사이 1차 고박을 위해 인부가 세월호 선체 위에 올라가 작업을 진행했다. 오전 11시쯤에는 세월호가 수면 위 13m까지 인양돼 반잠수식 선박에 실리기 위한 작업에 들어간다.
기상 상태는 작업에 무리가 없을 정도다. 현재 진도 앞바다는 초속 4에서 8m의 바람이 불고 있으며 파고는 0.5m 수준을 보이고 있다. 작업선에 게양된 깃발들이 간헐적으로 나부끼는 스준이다. 오후에도 큰 변함은 없을 전망이다.
그럼에도 세월호 피해자 가족들은 긴장과 우려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한 피해자 가족은 "기대 반 우려 반인 심정"이라며 "인양이 돼도 선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끝까지 지켜볼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바다 밑 수색이 끝날 때까지 당분간 동거차도를 떠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