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5일 밤사이 올라온 탈핵(탈원전) 관련 기사 이상은, 최초 반상회콘서트 개최 "평화롭고 안전한 세상 만들자" | 다음 연예 http://v.entertain.media.daum.net/v/20170915083816424?f=m - "최근 이슈가 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관련, 건설반대를 지지하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된 탈핵·반원전 선언 캠페인 ‘쇼미더탈핵’( www.facebook.com/showmethetalhack )에도 동참 의사를 밝혔다" 이상은씨에게 감사드립니다. ['탈원전'의 길 찾기](5)고리, 원전·인구 밀집도 높아..후쿠시마보다 41배 더 위험 | 다음 뉴스 http://v.media.daum.net/v/20170915060039891 - "세계 주요 원전 보유국들은 후쿠시마 사고 후 다수호기 사고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엔 다수호기의 안전성 평가 체계가 제대로 구축돼 있지 않다. 이에 신고리 5·6호기 건설 여부를 떠나 한국이 세계 최고의 원전 밀집 국가인 점을 고려하면 국내에 적합한 안전성 평가 체계를 신속히 마련하고, 투명한 정보 공개로 원전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하려는 노력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다수호기를 몰아서 지으니 건설비용이 저렴해지는게 당연하다. 이걸 마치 한국만이 독보적인 기술이 있어서 원전건설비용이 외국에 비해 1/3정도하고 홍보하는 핵피아들... 아 물론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 건축기술을 보유하고 있는건 인정. 다만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노후된다는 것을 논외로 친다면 말이지... ['탈원전'의 길 찾기]시민단체 "다수호기 안전성 평가 없이 신고리 5·6호기 허가" | 다음 뉴스 http://v.media.daum.net/v/20170915060038889 - “신고리 5·6호기가 지난해 6월 건설허가도 나기 전에 공정률이 20%에 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핵피아들의 아니 토건족들의 오래된 수법... 공사허가 나기전에 미리 돈을 투자해서 건설해놓아야 비용때문이라도 허가받기 쉽다는 것... 허가받기전에 불법적으로 미리 건설을 시작했으면서 중단하려하니 공정율 30%라고 뻥을... B2B 넘어 B2C로, 생활 속에 들어온 태양광 http://m.metroseoul.co.kr/news/newsview?newscd=2017091400097 - "태양광 발전이 B2C 영역으로 확장되는 것은 세계적 추세이기도 하다. 에너지를 사용하는 동시에 생산·판매한다는 의미로 생산자(프로듀서)와 소비자(컨슈머)를 합친 '에너지 프로슈머'는 탈 원전 시대 핵심 조건으로 꼽힌다." 이제 시민들이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시대가 왔다. 국가에서 공급받는 것보다는 스스로 생산하는데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 백운규 장관 "원전 감축, 60년 이상 단계적으로" | 다음 뉴스 http://v.media.daum.net/v/20170915064444337 - “신규원전 6기 백지화와 노후원전 수명연장 중단 등을 통해 그간의 원전 중심 발전정책을 전환하고 노후 석탄화력 발전 조기 폐지, 신규 석탄발전 진입금지, 환경설비 집중 투자 등을 통해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배출을 획기적으로 감축하겠다” 에너지전환을 꼭 이뤄주시길 희망합니다. 반대가 만만치 않겠으나 지나고나면 옳은 결정이 될 것입니다. 2019년 '세계재생에너지총회' 한국 유치 확정 | 다음 뉴스 http://v.media.daum.net/v/20170915063739285 - "IREC 한국 개최를 통해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및 관련 산업육성 의지를 국제사회에 알려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을 대폭 확대할 수 있을 것" 이번 기회를 통해 자연을 헤치고 사람들을 갈라놓는 화력과 원자력을 없애고 자연과 지속가능한 재생에너지 시대가 열리길... 영광 한빛원전 부실 의혹 현장 조사 무등일보 http://m.honam.co.kr/article.php?aid=1505401200535389021 - "가동원전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하는 것이 에너지전환의 시작"이라며 "주민들의 불안이 해소될 수 있도록, 철저하게 조사해 대책을 마련하겠다" 매번 그랬지... 매번... 하지만 돌아서면 똑같은 일의 반복... 근본적인 원인을 없애는 길은 폐로뿐인 것을... 울산매일 모바일 사이트, “원전건설 재검토·기존 원전 사회적 대처능력 확보해야” http://m.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2740 - “지진이 발생하면 뛰어갈 대피소, 방사능을 막아줄 대피소조차 없는 현실”이라며 “원전시설을 강화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대응방법, 대피방법, 핵폐기물 유지 관리 대책 등 기존 원전과 함께 살아가는 우리가 직면한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 대피계획도 없이 무조건 만들고 있는 원전들... 하긴 국내법상 건설회사에게는 책임질 의무가 없으니... 한수원도 6천억뿐이고... 나머지는 모두 시민들 세금이니... 불교방송 모바일 사이트, 탈원전, 탈석탄시대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정책방향과 입법과제 논의한다" http://m.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842699 - "전 세계가 탈원전을 선언하고 있는 추세에서 우리만 원전에 의존한다면 변화할 세계 에너지 시장에서 도태될 것"이라며 "이날 토론회에서 나온 정책적 제안 등을 토대로 국회에서 발의되는 신재생에너지 확대 입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 이훈의원을 비롯해 탈핵국회의원 모임분들이 더 힘내주시길... [녹색세상]어떤 '에너지 미래' 만들 것인가 | 다음 뉴스 http://v.media.daum.net/v/20170914204803638 - "우리는 어떤 미래를 원하는가? 미래는 저절로 오는 게 아니라 오늘 우리의 결정으로 만들어가는 것이다. 그렇다면 오늘 우린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까?" 당장이 아닌 후대를 위해 자본(경제)가 아닌 생명(환경)을 위한 길을 선택해야 합니다. [사설]원전보다 단가 크게 낮아진 재생에너지의 경쟁력 | 다음 뉴스 http://v.media.daum.net/v/20170914204158484 - "이 좁은 국토에, 그것도 인구 380만명이 사는 밀집지역에 무려 10기의 원전이 들어선다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겠는가. 게다가 그 좁은 땅에서 10만년이나 보관해야 할 고준위 핵폐기물 처리장을 어디서 찾는다는 말인가. 신재생에너지를 거부할 수 있는 이유는 사라졌다. 그만큼 원전 집착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시대착오적인 일이 되어가고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안전한 세상을 위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시민행동 http://nogori56.kr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선언하기 http://www.sgr56out.net/thanks/ 탈핵 및 환경재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텔레그램 채널에 입장하시면 최신 정보를 얻으실수 있습니다. https://telegram.me/earth_disaster "초록을 그리다 - for earth"는 탈핵, 탈원전만이 아닌 아이들을 위해 지속가능한 환경에 관해 고민하고 행동하는 분들의 가입을 기다립니다. http://cafe.naver.com/goodbyenu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