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역사와 지리

조선의 역사와 지리 지금 이 땅에 사는 우리는 대한제국과 대조선국의 역사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 이것이 어찌된 일일까? 나는 짧지 않은 세월동안 우리의 역사에 대해 연구했다. 그런데 아무도 대한제국의 시작과 성립에 대해 제대로 밝히지 않는다. 단재는 도깨비도 할 수 없는 일을 역사가들이 벌여왔다고 말했다. 땅을 옮기는 말도 안되는 작업을 벌여왔기 때문이다. 이것은 비단 한국에만 해당되는 일이 아니다. 고대부터 근대까지의 모든 역사를 차근차근 옮겨놓는 지루한 일이다. 문제는 땅을 옮기는 작업에 있지 않다. 어째서 진실을 부정하고 왜곡하느냐에 있다. 이것은 비겁의 결과인가 맹신의 결론인가? 대한제국의 역사는 한반도에서 시작되었다. 과정이야 어떻든 고종이 한반도로 종묘사직을 옮겨와 대한제국을 선포한 것은 역사적 사실이다. 문제는 그 이전의 조선이 어디에 있었는가? 조선의 역사가 어디서 펼쳐져 왔는가이다. 일제는 성공리에 역사이식의 작업을 마쳤다. 식민사관을 심고 조선의 역사를 통째로 한반도로 옮겨오는 작업에 성공했다. 나는 조선사를 연구하는 내내 인간의 무지와 오만, 어리석음에 대해 혀를 찰 수밖에 없었다. 이 정도의 증거면 인정할만도 한데 어리석은 이들은 거짓을 믿고 진실을 욕한다. 그런 무지와 오만이 인간의 역사를 야만과 학살로 점철시켰으리라. 나는 그 명확한 증거를 들어 글을 써왔다. 이제 그것이 책이 된다면, 많은 이들에게 진실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오늘은 그 중에 간단한 예를 들어 거짓의 역사를 드러내보겠다. 이순신은 전라좌수사 대한민국의 모든 국민이 아는 불후의 명장 충무공 이순신은 임진왜란에서 조선을 구했다. 그는 전라죄수사에서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어 불가능한 전력을 뒤집고 나라를 지켜냈다. 해군이 아니었으면, 조선은 4도를 내주었거나 일부를 일본에 넘겨주어야 했을 것이다. 이제는 너무나 명백해서 어이가 없기까지한 조선의 위치를 다시 말한다. 이순신은 전라좌수사였다. 전라남수사나 전라북수사가 아니라, 전라좌도를 지킨 전라좌수사였다. 왜 그런고 하니, 조선의 지리에 전라남도나 전라북도는 없었기 때문이다. 전라좌도 우도, 경상좌도 우도가 조선의 원래 지명이다. 하삼도라 부르던 지역은 충정도 전라도 경상도의 삼도이다. 하삼도를 묶어부르던 이유는 경기 아래로 삼도의 위치가 명확히 구분되었기 때문이다. 큰 강을 경계로 아래가 하삼도가 되는 것이다. 또한 충청도에는 남도 북도가 없다. 그렇게 구분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전라도와 경상도를 좌도 우도로 구분했던 이유는 그게 지리적으로 당연하기 때문이다. 나는 이미 밝혀진 증명과 본래의 지리를 설명하고 있다. 한반도를 기준으로 생각하는 사람에게만 어려울 뿐 조선땅을 기준으로 보면 명징한 지리다. 지금의 중국땅은 본래 조선땅이었고 삼국부터 조선까지의 모든 역사는 거기에서 이루어졌다. 한반도는 분명 함경도의 일부였고 고려의 유민이 살던 땅이다. 물론 고구려가 일본을 지배하던 시대에도 우리 땅이다.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이순신이 지켰던 전라좌도가 우리가 믿는 전라남도가 아니라 지금 중국 광주 그곳이라는 말이다. 내가 어디서 왜 지금 전라좌우도가 아니라 전라남북도냐고 묻자, 일제가 도제개편을 한거 아니냔다. 아니 수백년을 좌우도로 구분하다가 왜 굳이 남북도로 구분했을까? 그것은 한반도에서는 전라좌우도 경상좌우도로 구분하는게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지금도 학자들이설명하지 못 하는 한 가지 사실은 조선의 모든 지명을 한반도에서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조선사가 역사학도에게 가장 어려운 분야란다. 없는 곳에서 있는 것을 찾으려니 어려운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얘기가 길어지니 오늘은 여기까지만 하자. 이순신이 전라좌수사였다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지 생각해보기 바란다. 지리와 역사가 궁금한 이들은 김종윤, 대조선사, 문무의 조선사를 검색해보기 바란다. 대한

4.7 Star App Store Review!
Cpl.dev***uke
The Communities are great you rarely see anyone get in to an argument :)
king***ing
Love Love LOVE
Download

Select Coll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