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라밸 시대'

AI·IoT·클라우드 기술로 확산되는 유연근무제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을 추구하는 직장인들이 빠르게 늘고 있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생체인증(FIDO) 등 차세대 기술이 도입되면서 '유연근무제'가 민간 기업들 사이에 확산되고 있다.


워라밸은 일과 삶의 균형을 의미하는 것으로, 육체적·정신적 건강의 조화를 통해 행복한 삶을 추구하자는 '웰빙(Wellbeing)'과 유사한 단어다.

올해 초 취업사이트 잡코리아가 남녀 직장인 1105명을 대상으로 '일과 생활의 균형 체감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60.4%가 '현재 일과 생활이 균형을 이루고 있지 못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워라밸을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39.7%가 '정시 퇴근', 33.1%가 '근로시간 단축'을 꼽는 등 직장인들의 근로 환경의 개선이 워라밸을 위한 중요 요소로 지목됐다.


정부에서도 공공기관 및 공기업을 중심으로 워라밸 확산을 위해 '유연근무제'를 도입했지만, 시간관리과 출퇴근, 업무 처리 중복 등 다양한 근무 환경의 부족한 뒷받침으로 어려움을 겪어왔다.


유연근무제는 개인의 선택에 따라 근무 시간 및 근무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한다. 흔히 선택적 근로시간제라고 부른다.


유연근무제는 크게 ▲유연 출퇴근제 ▲재택근무제 ▲일자리 공유제 ▲집중근무제 ▲한시적 시간근무제 등 5가지로 분류된다.


SW, 보안 등 IT 기업 중심으로 유연근무제 늘어나


최근 AI, IoT, 클라우드, FIDO 등 차세대 기술이 근로 환경에 결합되면서 유연근무제를 도입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4.7 Star App Store Review!
Cpl.dev***uke
The Communities are great you rarely see anyone get in to an argument :)
king***ing
Love Love LOVE
Download

Select Coll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