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보다 망투자비, 유지 보수비가 더 들어
서비스 종료 위해서는 정부 승인 필요
이동통신 가입자 기준 1위 사업자인 SK텔레콤이 2G 서비스 종료 카드를 꺼내 들 것으로 보인다. 이 회사는 지난 달, 정부에 2G 서비스 종료를 하고 싶다는 의지를 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2G 서비스는 2012년 1월 KT가 종료했으며, 현재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운영하고 있다. 2G 서비스 종료를 하기 위해서는 통신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인가(승인)를 얻어야 한다.
SK텔레콤은 이를 위해 한시적으로 011, 017 등 01X 가입자들이 번호를 010으로 바꾸지 않고도 3G나 LTE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SK텔레콤이 사용하는 2G 주파수인 800㎒ 대역 10㎒ 폭의 주파수 할당 기간은 2021년 6월까지다. 앞으로 2년 이상 주파수 이용기간이 남아있다.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지난해 12월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국에 2G 서비스 종료 의사를 전달했다. 지난 11월 기준(과기정통부) 2G 서비스 가입자는 SK텔레콤 100만4849명, LG유플러스 71만6258명, MVNO(알뜰폰) 8만4456명이다. 이들을 합친 수는 총 180만5563명이다. 과기정통부의 가장 최신 통계는 지난 11월이다.
이에 대해 SK텔레콤 관계자는 “아직 확정된 것은 없고, 정부의 승인이 필요한 부분”이라며 “SK텔레콤이 2G 서비스 종료나 01X 가입자 LTE 서비스 이용 프로그램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은 맞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