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 세계 3대 영화제에 대한 글을 쓰며 필름마켓에 대해 알게 되었다. 각국의 영화 제작사와 수입사, 배급사 등이 서로 긴밀하게 소통하며 영화를 사고판다는 것이 신기했다.
필름마켓이란 말 그대로 영화를 사고파는 시장을 뜻한다. 영화 제작사가 직접 판매를 담당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세일즈 에이전시를 통해 판매가 이루어진다. 필름마켓만 따로 열리는 경우도 있지만, 많은 경우 영화제와 함께 열리기 때문에 영화제에는 영화 관계자뿐만 아니라 각국의 수입사들도 총집합하게 된다. 각국의 수입사들은 매달 열리는 마켓들을 찾아가 영화를 보거나 영화에 대한 정보를 얻은 뒤 거래를 한다. 물론 이 과정을 위해 마켓을 가기 전에 사전조사는 필수적이다.
1월에는 미국에서 선댄스 영화제가 열리는데, 미국의 독립영화 위주의 프로그램이다. 많은 영화가 팔리기는 하지만 바로 다음 달에 베를린에서 더 큰 마켓이 열리기 때문에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볼 수도 있다.
2월에는 베를린 영화제와 함께 EFM(European Film Market)이 열린다. 칸 영화제보다는 작지만, 베를린 영화제의 특성을 반영해 예술영화에서는 강세를 보이기 때문에 예술영화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이 모인다.
3월에는 홍콩국제영화제와 함께 Filmart가 열린다. 아시아에서 열리는 필름마켓 중에서는 최대이며 가장 활발하다고 볼 수 있고, 부산국제영화제와 함께 열리는 AFM(Asian Film Market)이 거의 대등한 수준까지 올라왔다는 평을 받고 있다.
5월에는 대망의 칸 국제영화제가 열린다. 영화제로서도 가장 매력 있다는 평을 받으며, 필름마켓적인 측면에서도 거의 모든 영화가 모이기 때문에 반드시 가야 한다고 할 수 있다.
8월에 베니스 국제영화제가 열리기는 하지만 필름마켓적인 측면에서는 중요하지 않다.
9월에 열리는 토론토 국제영화제가 베니스보다 더 뜨는 마켓이다. 1월의 선댄스 영화제보다는 좀 더 상업적이고, 영어권 영화들이 많이 선보여진다.
10월에는 부산국제영화제가 열리며 동시에 AFM(Asian Film Market) 이 진행된다. 국내에서 필름마켓을 간다고 하면 필수적으로 가야 하는 마켓으로 꼽힌다.
11월에는 칸과 쌍벽을 이루는 AFM(American Film Market)이 열린다. 상업영화가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상업영화사라면 반드시 방문해야 할 마켓이다. 미국 LA에서 열리며 영화제가 아니므로 행사는 거의 없으며, 사무적인 느낌이 강하다.
외화 수입의 절차나 자세한 업무는 더 복잡하고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영화수입에 관심이 많은 것은 아니므로 이 정도만 알아보기로 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세계적인 영화제들이 작품성을 매기고 상을 주는 명예로운 자리일 뿐만 아니라, 그 이면에서는 더 좋은 작품을 선점해 많은 이익을 내기 위한 치열한 눈치싸움이 벌어지는 전쟁터였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게 되어 놀랐다.
당신의 영화 맛집은 어디인가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영화 관련 이슈에 대해 궁금한 점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최대한 열심히 알아보고 글 남기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