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기술 변화가 가져오는 불평등은 과거와 다르다

[번역자주: 이 글은 영국 금융서비스 위원회 의장을 지냈고 현재 영국 상원(House of Lords) 금융정책 위원회 멤버로 있는 Adair Turner가 Project Syndicate에 기고한 글입니다] 지난해 11월 프란치스코 교황은 “자본주의 시장의 절대적 자율성을 신봉하는 이데올로기”가 불평등의 급격한 확대를 불러온다고 경고(http://www.vatican.va/holy_father/francesco/apost_exhortations/documents/papa-francesco_esortazione-ap_20131124_evangelii-gaudium_en.html#No_to_an_economy_of_exclusion)했습니다. 교황의 이러한 진단은 옳은 것일까요? 국가들 간의 소득 불평등을 비교한 자료를 보면 교황은 틀렸습니다. 국가들 사이의 소득 격차는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한 국가 내에서의 불평등을 살펴본다면 교황이 옳습니다. 대부분의 국가들의 경우 국가 내에서 소득 격차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경우 지난 25년 간 소득 하위 25%의 실질 소득은 거의 증가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같은 기간 동안 소득 상위 1%의 실질 소득은 급격히 상승해 미국 전체 소득의 2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신흥 개발도상국들의 경우 빠른 경제성장이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어느 정도 삶의 질이 향상되는 결과를 가져왔지만, 부자와 거부의 비율 역시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세계화는 왜 소득 분포 하위에 위치한 사람들의 소득이 정체되어 있는지를 어느 정도 설명합니다. 중국의 값싼 공산품들이 수입되면서 미국 노동자들의 임금을 낮춘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기술 변화는 국가 내에서 증가하는 불평등을 설명하는 데 있어 세계화보다 더 근본적인 원인일 수 있습니다. 기술 변화는 경제 성장의 핵심입니다. 성공적인 새로운 기술은 늘 어떤 분야의 일자리가 사라지는 결과를 초래했지만, 동시에 새로운 분야에서 일자리를 창출해 왔습니다. 하지만 오늘날의 기술 변화는 과거의 기술 변화와는 미묘하게 다릅니다. 오늘날의 기술 변화는 과거 전기기계 혁명 시대의 혁신보다 일자리 배분이나 소득 분배에 있어서 훨씬 더 큰 문제를 야기합니다. 오늘날의 정보 통신 기술은 소비자들에게 비교적 싼 가격에 기술 발전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지만, 이러한 기술 변화는 일자리 창출 효과가 미미합니다. 1979년 GM은 85만 명의 직원을 고용했습니다. 오늘날 마이크로소프트는 전 세계적으로 10만 명을 고용하는 데 그치고 있으며, 구글은 5천 명, 그리고 페이스북도 5천 명만을 고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기술 변화에 따라 증가하는 실업률이 불가피한 것만은 아닙니다. 우리는 여전히 대형 할인점이나 레스토랑, 호텔과 같은 서비스 분야에서 일자리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월마트는 현재 2백만 명을 고용하고 있고 미국 노동 통계청의 예상에 따르면 앞으로 10년 간 미국의 레저 산업 분야에서 100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일자리에 고용된 사람들에게 지급되는 임금의 수준이 소득 불평등을 더 부추길 확률이 높습니다. 정치인들이 즐겨 말하는 “노동자들의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은 문제 해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무리 많은 사람들이 고도의 정보 관련 기술을 배워도 페이스북은 몇천 명밖에 고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 높은 임금이 보장되는 직업을 갖는 것의 여부는 노동자의 절대적인 기술 수준이 아니라 승자 독식의 사회에서 상대적인 기술 수준에 의해 결정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누군가는 말합니다. IT 제품들과 서비스 상품들이 매우 저렴하게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난한 사람들도 이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하지만 이는 사회적인 불평등을 더욱 공고히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경제학자인 타일러 코웬(Tyler Cowen)은 최근 펴낸 책 “평균은 끝났다(Average is Over)”(http://online.wsj.com/news/articles/SB10001424052702303342104579097482945031804)에서 새로운 기술은 극단적인 불평등을 만들어 낼 것이지만 이러한 기술 변화의 상대적인 패자들은 컴퓨터 게임이나 인터넷 오락에 빠져서 최소한의 삶의 조건에 만족하며 아무런 저항도 하지 않고 고분고분하게 살아갈 것이라는 도발적인 주장을 하기도 했습니다. 코웬의 주장처럼 기술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사람들은 저항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극단적인 불평등에 대해서 우려해야 합니다. 특정 시점이 지나면 불평등한 결과는 불가피하게 기회의 불평등으로 이어질 것이고 이는 모든 인간은 시민으로서 동등하다라는 전제를 무너뜨릴 수 있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말이 맞습니다. 자본주의가 경제 성장을 이끈 것은 의심할 여지 없는 사실이지만 우리는 시장의 힘이 모든 것을 결정짓도록 해서는 안됩니다. 새로운 기술은 기회를 창출하지만, 자유 시장은 새로운 기술의 혜택을 매우 불평등한 방식으로 배분할 것입니다. 이러한 흐름을 바꾸는 것은 과거 그 어느 때보다 오늘날 우리에게 큰 도전이 될 것입니다. (Project Syndicate) 원문보기(http://www.project-syndicate.org/commentary/adair-turner-warns-that-today-s-new-technology-will-leave-more-people-worse-off)

뉴스페퍼민트는 최근 화제가 된 외신 중 우리에게 새로운 시각을 알려주는 기사들을 중심으로 세계/정치, 경제/경영, 과학/의료 세 분야 6편을 골라 번역/요약하여 월~금 오전 7시에 제공합니다.
Follow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돈, 일, 사람. 살면서 매우 중요한 세 가지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Marblerstory
7
14
0
최근 산부인과에서 일어난 미스테리한 사건
paper22
21
1
1
'20대 초반' 보다 '40대 초반'이 더 많은 요즘 신부들
newsway
10
5
4
세상 쉬운 유튜브 영상 다운로드 방법
bakkas
13
40
0
[이심쩐심] 생계비 100만원 즉시 입금해준다는 이 대출, 자격 조건이…
newsway
3
2
0
은근히 모른다는 카카오페이 현금영수증 설정
visualdive
6
5
0
여의도 여장남자 헬스장 출입 논란
omazingnews
22
2
3
건강검진 [ 검진라인 ] 봄철 건강의 빨간 신호등 ' 춘곤증 '
sjcore202020
2
0
0
현대그룹이 인수한 보스턴 다이내믹스 근황
n0shelter
33
11
7
GIF
광진구 구의동 인근 얼룩말 포획 대치중
omazingnews
31
4
4
Video
트와이스 미국 콘서트 근황 ㄷㄷ
paper22
8
1
0
자아를 가진 인공지능과 인터뷰를 한다면
boogiewoogie
15
5
4
혐주의) 인도인 시체로 뒤덮인 방글라데시 해안 ㄷㄷ
paper22
19
4
3
식별되지않은 네트워크,이더넷 다양한 해결방안
007overmen1
16
28
0
길가다 얼룩말 만난 시민 반응...
omazingnews
39
5
7
Video
14분만에 밥하는 일본의 1인용 밥솥
kikibu
35
13
4
신용카드 혜택의 비밀
boogiewoogie
20
11
6
챗GPT 왜 쓰냐고? 2명 중 1명은 '이것'이 목적 [친절한 랭킹씨]
newsway
7
4
2
<황교익> 노무현은 이렇게 말했다. 윤석열도 들으라. "일본 국민과 지도자들에게 당부합니다. 우리는 더 이상 새로운 사과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이미 누차 행한 사과에 부합하는 행동을 요구할 뿐입니다. 잘못된 역사를 미화하거나 정당화하는 행위로 한국의 주권과 국민적 자존심을 모욕하는 행위를 중지하라는 것입니다. 한국에 대한 특별한 대우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사회의 보편적인 가치와 기준에 맞는 행동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역사의 진실과 인류사회의 양심 앞에 솔직하고 겸허해지기를 바라는 것입니다." 아래는 노무현의 성명 전문이다. <독도와 한일 관련 특별 성명>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독도는 우리 땅입니다. 그냥 우리 땅이 아니라 특별한 역사적 의미를 가진 우리 땅입니다. 독도는 일본의 한반도 침탈 과정에서 가장 먼저 병탄된 역사의 땅입니다. 일본이 러일전쟁 중에 전쟁 수행을 목적으로 편입하고 점령했던 땅입니다. 러일전쟁은 제국주의 일본이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기 위해 일으킨 한반도 침략전쟁입니다. 일본은 러일전쟁을 빌미로 우리 땅에 군대를 상륙시켜 한반도를 점령했습니다. 군대를 동원하여 궁을 포위하고 황실과 정부를 협박하여 한일의정서를 강제로 체결하고, 토지와 한국민을 마음대로 징발하고 군사시설을 설치했습니다. 우리 국토에서 일방적으로 군정을 실시하고, 나중에는 재정권과 외교권마저 박탈하여 우리의 주권을 유린했습니다. 일본은 이런 와중에 독도를 자국 영토로 편입하고, 망루와 전선을 가설하여 전쟁에 이용했던 것입니다. 그리고 한반도에 대한 군사적 점령상태를 계속하면서 국권을 박탈하고 식민지 지배권을 확보하였습니다. 지금 일본이 독도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는 것은 제국주의 침략전쟁에 의한 점령지 권리, 나아가서는 과거 식민지 영토권을 주장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한국의 완전한 해방과 독립을 부정하는 행위입니다. 또한 과거 일본이 저지른 침략전쟁과 학살, 40년간에 걸친 수탈과 고문·투옥, 강제징용, 심지어 위안부까지 동원했던 그 범죄의 역사에 대한 정당성을 주장하는 행위입니다. 우리는 결코 이를 용납할 수 없습니다. 우리 국민에게 독도는 완전한 주권회복의 상징입니다. 야스쿠니신사 참배, 역사교과서 문제와 더불어 과거 역사에 대한 일본의 인식, 그리고 미래의 한일 관계와 동아시아의 평화에 대한 일본의 의지를 가늠하는 시금석입니다. 일본이 잘못된 역사를 미화하고 그에 근거한 권리를 주장하는 한, 한일 간의 우호관계는 결코 바로 설 수가 없습니다. 일본이 이들 문제에 집착하는 한, 우리는 한일 간의 미래와 동아시아의 평화에 관한 일본의 어떤 수사도 믿을 수가 없을 것입니다. 어떤 경제적인 이해관계도, 문화적인 교류도 이 벽을 녹이지는 못할 것입니다. 한일 간에는 아직 배타적 경제수역의 경계가 획정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는 일본이 독도를 자기 영토라고 주장하고, 그 위에서 독도기점까지 고집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동해해저 지명문제는 배타적 경제수역 문제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배타적 수역의 경계가 합의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일본이 우리 해역의 해저지명을 부당하게 선점하고 있으니 이를 바로잡으려고 하는 것은 우리의 당연한 권리입니다. 따라서 일본이 동해해저 지명문제에 대한 부당한 주장을 포기하지 않는 한 배타적 경제수역에 관한 문제도 더 미룰 수 없는 문제가 되었고, 결국 독도문제도 더 이상 조용한 대응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가 되었습니다. 독도를 분쟁지역화 하려는 일본의 의도를 우려하는 견해가 없지는 않으나, 우리에게 독도는 단순히 조그만 섬에 대한 영유권의 문제가 아니라 일본과의 관계에서 잘못된 역사의 청산과 완전한 주권확립을 상징하는 문제입니다. 공개적으로 당당하게 대처해 나가야 할 일입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이제 정부는 독도문제에 대한 대응방침을 전면 재검토하겠습니다. 독도문제를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야스쿠니신사 참배 문제와 더불어 한일 양국의 과거사 청산과 역사인식, 자주독립의 역사와 주권 수호 차원에서 정면으로 다루어 나가겠습니다. 물리적인 도발에 대해서는 강력하고 단호하게 대응할 것입니다. 세계 여론과 일본 국민에게 일본 정부의 부당한 처사를 끊임없이 고발해 나갈 것입니다. 일본 정부가 잘못을 바로잡을 때까지 국가적 역량과 외교적 자원을 모두 동원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입니다. 그밖에도 필요한 모든 일을 다 할 것입니다. 어떤 비용과 희생이 따르더라도 결코 포기하거나 타협할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우리의 역사를 모독하고 한국민의 자존을 저해하는 일본 정부의 일련의 행위가 일본 국민의 보편적인 인식에 기초하고 있는 것은 아닐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일 간의 우호관계, 나아가서는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태롭게 하는 행위가 결코 옳은 일도, 일본에게 이로운 일도 아니라는 사실을 일본 국민들도 잘 알고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감정적 대응을 자제하고 냉정하게 대응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일본 국민과 지도자들에게 당부합니다. 우리는 더 이상 새로운 사과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이미 누차 행한 사과에 부합하는 행동을 요구할 뿐입니다. 잘못된 역사를 미화하거나 정당화하는 행위로 한국의 주권과 국민적 자존심을 모욕하는 행위를 중지하라는 것입니다. 한국에 대한 특별한 대우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사회의 보편적인 가치와 기준에 맞는 행동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역사의 진실과 인류사회의 양심 앞에 솔직하고 겸허해지기를 바라는 것입니다. 일본이 이웃나라에 대해, 나아가서는 국제사회에서 이 기준으로 행동할 때, 비로소 일본은 경제의 크기에 걸맞은 성숙한 나라, 나아가 국제사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국가로 서게 될 것입니다. 국민 여러분, 우리는 식민지배의 아픈 역사에도 불구하고 일본과 선린우호의 역사를 새로 쓰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왔습니다. 양국은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공통의 지향 속에 호혜와 평등, 평화와 번영이라는 목표를 향해 전진해 왔고 큰 관계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이제 양국은 공통의 지향과 목표를 항구적으로 지속하기 위해 더욱 더 노력해야 합니다. 양국 관계를 뛰어넘어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 나아가 세계의 평화와 번영에 함께 힘을 모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과거사의 올바른 인식과 청산, 주권의 상호 존중이라는 신뢰가 중요합니다. 일본은 제국주의 침략사의 어두운 향수로부터 과감히 털고 일어서야 합니다. 21세기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 나아가 세계 평화를 향한 일본의 결단을 기대합니다. 대통령 노무현 https://m.youtube.com/watch?v=zATiEmlJScI
plus68
15
8
2
[칼럼] '메타버스'는 '헛소리'가 맞았던 걸까?
thisisgame
21
9
0
4.7 Star App Store Review!
Cpl.dev***uke
The Communities are great you rarely see anyone get in to an argument :)
king***ing
Love Love LOVE
Download

Select Coll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