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지내고 계신가요?
'잘'만큼 지극히 주관적인 부사는 없다고 생각하지만 잘 지내고 계시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긴 물음이었습니다.
오늘 날씨, 2019 첫눈, 체감온도 뚝!
⠀
눈 내려요. 단톡방에서 네 글자를 보자마자 타자기에서 손을 떼고 문 앞으로 달려나갔다. 눈이 내리는구나. 눈을 처음 본 아이처럼 내리는 눈을 바라보고 또 바라보다 너에게 연락을 했다.
⠀
밖에 눈이 내려.
⠀
30분쯤 지났을 때 너에게 답이 왔다.
⠀
여기는 눈이 안 와.
⠀
손 위의 눈이 녹는지도 모른 채 온난하던 때가 있었다. 전화기로 흘러들어오는 목소리만 들어도 웃음이 나고 밤잠을 줄여가며 이야기를 나누던. 모든 것은 과거형이 되어버렸고 현재 남은 건 말라버린 입술과 초점 없는 눈빛 정도. 하얀 빛이 투영된 눈 속에 네가 담기고 의미를 알 수 없는 눈물이 흘러내린다. 빈 기둥 형태의 결정이 바닥에 떨어져 내려 깨진다.
독감기로 인해 며칠째 누워있는 방 여기저기에 젖어있는 것들이 널려있다. 가습기를 켜 놓지만, 엄마는 불만족스러우신지 젖은 수건과 그날 손빨래한 것들을 문 뒤와 옷장 여기저기에 널어두신다.
⠀
''방 안이 건조하면 안 돼.''
⠀
뜨거운 입김을 내뿜으며 천장을 바라보다가 옷장 문고리에 걸려있는 회색 맨투맨으로 눈길이 향한다.
밀물과 썰물의 형태를 하고 있는 옷의 물기는 위에서부터 말라가고 있다. 이곳은 서해안도 동해안도 아니니 큰 차이 없이 방 안의 건조도에 따라 짙은 회색에서 옅은 회색으로 변해갈 것이다. 바다가 보고 싶었던 자는 말라가는 옷에서도 바다를 본다.
“여기 사서예요?”
널브러져 있는 짐을 치우고 테이블 위에 올려져 있는 발을 내려달라고 말한 나에게 그가 물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째려볼지언정 그 어떤 말도 하지 않은 채 나의 말에 따랐기에 이 물음은 날 당황시키기에 충분했다. 벌게진 얼굴로 “네”라고 대답한 채 몸을 틀어 그곳을 빠져나왔다. 1층으로 내려와 CCTV 화면으로 그를 바라본다. 짐을 치우고 테이블 위의 발은 내려져 있으나 여전히 마음에 들지 않는다. 내가 사서가 아니면 뭐. 하는 마음도 있었지만 그가 요즘 매일 오는 노숙자인 것이 짜증 나는 탓이다.
정해진 주거 없이 주로 공원, 거리, 역, 버려진 건물 등을 거처로 삼아 생활하는 사람.
노숙자에 대한 사전적 정의를 찾아보며 그의 큰 배낭과 양손에 쥐고 있는 4개의 비닐 꾸러미를 떠올리다가 코를 쥐어 잡는다. 처음부터 그가 싫었다. 숨쉬기 싫을 정도의 냄새에 어지러움을 느꼈을 때부터 일 거다. 닦지 않아 뿌옇게 변한 안경을 쓴 채 서가 사이를 오가는 도서관에 오는 노숙자. 주민등록증상의 주소가 서울이면서 왜 인천까지, 그것도 수많은 장소 중에서 왜 도서관에 오는 것일까. 왜 쉴 새 없이 허공에 대고 말하는 것일까. 왜. 도대체 왜.
타인에게 수많은 물음을 가지기는 오랜만이었다. 그 또한 많은 의문을 가졌을까. 내가 왜 이렇게 되었을까. 갈 곳이 없는 나는 어디로 가야 하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 것일까. 신은 나를 버린 걸까. 언제까지 혼자여야 하는 것일까. 사람들은 왜 나를 싫어할까. 왜. 도대체 왜. 혼잣말을 중얼거리는 그를 보며 쥐고 있던 주먹이 풀어지기 시작했다.
‘과거로부터 비롯된 것들이 현재라는 모습을 하고 있고 이는 미래로 연결된다. 그의 과거에 현재에 대한 답이 있을 거고, 그가 해야 하는 일은...’까지 생각하다가 주먹을 쥐었다. 나 같은 사람이 곁에 없었을 리 만무하다. 모든 것은 그가 자초한 것일지도 모른다. 어쩌면 타인에 대한 무관심이 그를 그렇게 만들었을지도 모르는데 그때의 난 냉정했고, 그랬기에 네 경찰에게 둘러싸여 내가 왜 도서관을 떠나야 하냐며 항변하는 그를 물끄러미 바라볼 뿐이었다.
“그 무서운 사람 떠났어요?”
“경찰에 신고해서 떠났어요. 이제 안 올 거예요.”
덩치 크고 쉴 새 없이 혼잣말을 하다가 이따금 말을 걸어오던 그는 어느샌가 무서운 사람이 되어 있었다. 그의 부재가 모두에게 평온함을 가져다준다는 현실이 손바닥의 손톱자국을 더 깊고 선명하게 만든다. 의문이 의문에서 그쳤을 때 비롯된 것들이란 이런 법이다.
인간이 느낄 수 있는 5가지 감각을 오감이라고 하며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이 이에 해당한다. 공책에 '커피 같은 경우 5가지의 맛 중 평균적으로 3가지의 맛을 느낀다고 함' 이라고 적고 그 아래로 세 개의 선을 긋는다. 신맛, 쓴맛, 그리고 공란. 한 가지 맛이 생각나지 않는다. 책을 펼쳐보니 단맛이란다. 내 인생에서 빠진 요소라서 생각나지 않은 것일까. 모든 것이 충족된 채 태어나더라도 살아가면서 수많은 것들을 겪다 보면 추가되는 것도 빠지는 것도 있는 법이다. 단맛에 노란색 형광펜을 진하게 긋고 다음 문장으로 넘어간다.
향미의 호불호는 개인의 감각적 예민함과 선호에 달려 있기 때문에 답은 언제나 커피를 마시는 사람에게 있다고 한다. 이 문장을 읽으며 커피를 삶과 연결 지어야겠다고 생각했다. '답은 언제나 커피를 마시는 사람에게 있다'는 말은 '모든 것은 나에게 달렸다'는 주체적인 말과 결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커피 관련 서적은 오랜만이기에 흥미를 느끼며 다음 장으로 그다음 장으로 책장을 계속해서 넘긴다. 커피를 마시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고 가정했을 때 대다수의 사람들이 좋아하는 커피를 만들 수 있는 최적의 온도가 이론적으로 존재한다고 한다. 바로, 90~96°C. 물은 100°C에서 끓으나 커피는 90~96°C에서 맛있다는 점이 위로가 된다. 결여된 것이 많은 자에게 6°C의 차이란 그런것이다. 부족한 것으로부터 느낄 수 있는 안정감. 이 역설속에서 오늘도 오감으로 커피를 마신다.
그대를 누구보다도 사랑합니다.
동백꽃의 꽃말같은 사랑을 꿈꿨던 적이 있었다. 말 그대로 꿈인걸 안 뒤로는 그거 다 진부한거라고 치부해버렸지만.
'동백꽃 필 무렵.' 오늘은 사랑한다는 말을 하고 싶게 만든 드라마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한다.
주변인들에게 추천만 하다가 이렇게 글로 남기는 이유는 울었기 때문이다. 울고 싶어도 울지 못하던 내가 소리까지 내가며 눈물을 뚝 뚝 흘렸다. 사는게 형벌이라던 극 중 어머니는 너와 함께한 몇 년이 적금을 타는 것 같았다고 말한다. 평생을 사랑했다한다. 이 드라마를 보며 꽤 자주 울컥 거렸고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사랑이 고팠던걸까 싶을정도로.
남녀와 부모 자식간의 사랑의 결은 다른듯해도 비슷한 구석이 꽤 많다고 생각한다. 순수한 교차점이 우리를 살게 한다. 얼마전에 사랑한다는 말을 입 밖으로 낸 적이 있다. 생경함에 얼굴이 붉어지다 온 몸이 물들어버렸다. 사랑이 아닌 내가 진부했구나 생각하며 한번 더 사랑한다고 말한다. 사랑해 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