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천문: 하늘에 묻는다>(2019)의 이야기는 명에 의존하지 않고 굳건히 자립하는 조선을 꿈꾼 군주 '세종'(한석규)과 그의 시대에 여러 과학적 발명들을 남겼던 '장영실'(최민식)의 관계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사료를 기초로 하되 (당연히) 상상력을 더한 작품인데, 그건 말년을 비롯한 장영실의 삶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고 나아가 세종 시기를 다룬 여러 다른 드라마나 영화와 구분되는 <천문: 하늘에 묻는다>만의 방식과 관점을 만드는 것이 바로 상상력이기도 하겠다. 천문(天文)이 아니라 '천문(天問)'. 두 사람은 별을 보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
영화의 주된 바탕은 세종이 탄 가마 '안여'의 바퀴가 부러졌던 사건이다. 비 내리는 들판에서 흙탕물을 망연하게 뒤집어쓴 세종과 가신들의 표정으로 문을 연 <천문: 하늘에 묻는다>는 안여 사건 며칠 전으로 돌아가 사건의 배경을 다뤄내는 동시에 세종 집권 초기, 장영실이 세종의 눈에 들어 여러 연구 개발과 발명을 맡을 수 있게 된 계기를 조명한다. 이렇게 크게는 세 개의 시간대를 오가며 단조로울 수 있는 사료의 나열 방식을 피하고, 동시에 앞서 언급한 '세종과 장영실의 관계'를 짚어내는 데 중요한 정보들을 서사 진행에 효과적인 순으로 재배치하는 노력이 <천문: 하늘에 묻는다>의 각본에 묻어난다. 그리고, 거기에 (이미 <뿌리깊은 나무>(2011)에서 '세종'을 연기한) 한석규와, <쉬리>(1999)로 한석규와 함께 연기했던 최민식, 그리고 <8월의 크리스마스>(1998)로 한석규의 얼굴을 섬세하게 살린 허진호 감독이 만났다. (허진호 감독이 전작으로 <덕혜옹주>(2016)를 연출한 건 마치 <천문: 하늘에 묻는다>에 앞서 시대극의 감각을 연마하기 위한 중간 단계였던 것처럼 다가오기도 한다.)
(...)
24시간 환하게 지낼 수 있는 오늘날에 비하면 훨씬 더 밤을 온전하게 밤으로 보낼 수 있었던 이 시기의 이야기를 스크린에서 만날 수 있었다는 게 그 자체로 반갑기도 했다. <천문: 하늘에 묻는다>의 중반 이후 전개는 장영실이 이뤄낸 과학적 발명 자체보다는 그를 둘러싼 조선 내부의 이해관계는 물론 명과의 관계를 아우른다. 스케일은 커지지만 중심은 잃지 않는다. (<뿌리깊은 나무>에도 배우 이재용의 연기로 볼 수 있었던) '조말생'(허준호)의 등장 이후 살짝 흐름이 바뀌는 듯하다가도 이내 세종과 장영실의 얼굴로 돌아온다. 함께 누워 별을 올려다보고, 동무처럼 하나의 대상에 몰두하는 생생한 두 얼굴은 곧 <천문: 하늘에 묻는다>의 모든 것이다. 꿈을 꾼다는 건 앞으로의 시간을 조금 미리 사는 일인데, 묘하게도 '누구나 읽고 쓸 수 있는 세상'을 꿈꾸고 실현시킨 세종의 (영화상 시점보다) 미래의 업적이 그 존재 자체로 영화의 그림자 역할을 하기도 한다. 발 딛고 선 땅에 안주하지 않고 하늘을 바라봤던 사람들의 이야기가, 그들의 삶이 지나고 나서도 계속해서 이야기로 남고 영향력으로 이어지며 오늘의 하늘과 시간이 되었다. 세종과 장영실은 각자의 방식으로 서로의 이름을 함께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