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라이어 - 1만 시간의 법칙이 다가 아니다.

'1만 시간의 법칙'이라는 단어를 유명하게 만들어준 책. 하지만 사실 '1만 시간의 법칙'은 이 책을 관통하는 주제가 아니기에 안타까움을 느낀다. '1만 시간의 법칙'은 여러분들도 잘 알고 있다 싶이 어떤 분야에서 정통한 실력을 보여주기 위해선 1만 시간 동안 노력과 연마를 해야한다는 것이다. 즉, 성공에는 재능보다 노력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딱 여기까지가 글래드웰이 주장하는 바다.(실제로 글래드웰은 일정 수준 이상의 지능만 가지고 있으면 지능과 재능은 성공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문제는 이 다음부터다. 아웃라이어에 영향을 받은 사람들이 '1만 시간의 법칙'이 무슨 진리인마냥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말콤 글래드웰은 '노력'이 성공의 핵심 요인이라고 한 적은 없다. 그렇다면 그래드웰의 연구 결과 성공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게 무엇이냐하면 '기회'이다. 글래드웰은 심지어 기회가 재능이나 지능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상식을 뒤엎는 이 주장에 우리는 책을 읽어가면서 설득이 된다. 컴퓨터 혁명을 이끈 거인들, 미국 실업계에 유명한 사람들은 전부 시대를 타고 났고 그 시대를 잘 활용했기에 그런 위치에 오를 수 있었다. 물론 말콤 글래드웰은 그들의 노력을 인정한다. 만약 빌 게이츠나 플롬이 1만 시간의 법칙을 통해 단련되지 않았더라면 기회를 잡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게이츠가 10년만 더 늦게 태어났다면 지금과 같은 위상을 누릴 수 있었을까? 쉽게 '그렇다'라고 이야기를 하지 못할 것이다. 실제로 우리가 아는 실리콘밸리의 거물들은 전부 비슷한 나이대이다(빌게이츠/스티브 잡스 나이에서 +-3살). 즉, 그들은 자기 세대에 다른 세대와 다른 '특별한 기회'를 부여받았다는 것이다. 말콤 글래드웰의 표현을 따르자면 '그는 결코 역경과 맞서 싸운 것이 아니다. 대신 역경 속에서 출발했고 결국 그것이 기회가 되어 주었다.' 무엇인가 운명론적인 이야기인 것 같다. 결국 '운 좋은 놈이 장땡'이라는 소리 아닌가? 라는 생각까지 든다. 그러나 글래드웰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여기서 그쳤다면 우리의 미래는 상당히 음울했을 것이다. 글래드웰은 성공에 가장 중요한 이 '기회'라는 것이 우리가 우리 능력을 활용함으로서 충분히 잡을 수 있는 것이라는 사실을 이야기해준다. 랭건과 오펜하이머의 사례를 들어서 말이다. 랭건은 미국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이다. 초등학교에 입학할 때쯤 유클리드 기하학을 혼자 독파했고, 중학교때는 대학원 수준의 물리를 공부했는 사람이다. 그러나 그는 기회를 잡는 법을 몰랐다. 핵심적인 키맨(key man)을 파악할 능력도 그들을 설득할 능력도 없었다. 반면 오펜하이머는 달랐다. 그는 기회를 알아보고 키맨을 설득할 능력이 있었다. 사실 오펜하이머는 랭건보다 지능이 낮은 사람이다. 대학원 시절에는 공부로 인한 스트레스를 감당하지 못해 정신병으로 지도교수까지 암살하려고 했던 사람이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았을 때, 오펜하이머는 맨허튼 프로젝트에 들어갔으면 안됐다. 정신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핵무기를 만든다고? 이 얼마나 위험천만한 이야기인가. 그러나 오펜하이머는 기회를 잡을 줄 알았다. 그는 맨허튼 프로젝트를 위해 사람들을 모으고 다니는 키맨을 찾아서 그를 설득했고, 프로젝트의 총 책임자가 된다. 그리고 현대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 중 한 사람이 되었다. 그러면 이 '기회를 잡는 능력'이란 무엇인가? 이것은 재능이나 똑똑함 같은 'Intelligence'와 다르다. 사람을 설득하는 'social'적인 능력이 바로 기회를 잡을 수 있는 핵심 자산인 것이다. 이 책의 2부에서는 환경적인 요소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환경과 성공의 관계라는 중요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여기까지 이야기하면 너무 길어질 것 같아서 이하 생략.... ==== 궁금증 해결을 위해서라도 책을 읽어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확실히 정말 '명작'이라고 칭할만한 책이에요ㅎㅎ 후회하지 않을 것입니다~!!!

야구야구야구♥
Follow
4.7 Star App Store Review!
Cpl.dev***uke
The Communities are great you rarely see anyone get in to an argument :)
king***ing
Love Love LOVE
Download

Select Coll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