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0년대생들이 게임에 미칠 수 밖에 없었던 이유...jpg

1996년


현재까지 세계에서 가장 오래 서비스되고 있는 MMORPG

바람의 나라를 시작으로


1998년


피씨방 문화의 시발점이자 이스포츠의 시대를 연

현재까지도 사랑 받고 있는 국민게임 스타크래프트의 등장


2000년


그 시절 우리를 잠 못들게 했던

스타크래프트로 잘 알려진 블리자드가 내놓은 액션 RPG

디아블로2와


2002년


2003년


스타와 양대 산맥을 이룬 워크래프트3는

정말 블리자드의 시대가 왔구나 라는걸 느낄 수 있었다


2001년


남녀노소 안가리고 즐겼던

또 다른 국민게임 크레이지 아케이드의 출현


2003년


2005년


2005년


우리나라에서 '진짜' RPG붐을 불러온 전설의 게임 3대장


메이플스토리 & 던전앤파이터 & WOW


그 뿐만 아니라

RPG외에도 다양한 장르의 게임으로

국내 게이머들을 만족시켰던 게임들도 여럿 있었는데


2005년


해외에 카스가 있다면 국내엔 서든이 있었다

그 당시 국민 FPS 게임 서든어택


2004년


해외에 마리오카트가 있다면 국내엔 카트라이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레이싱 게임하면 딱 떠오르는 게임

카트라이더


2007년


게임보다 학교에서 공차는걸 더 좋아했던 친구들조차

피씨방으로 모여들게 한 전설의 축구 게임

피파온라인2


2002 월드컵 4강 신화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소속 박지성 선수의 활약으로

해외축구에 대한 관심도가 올라가면서

축구게임 또한 인기가 급상승 하게 되었다


한편, 바람의 나라&메이플스토리&던전앤파이터&WOW 등

RPG게임의 붐으로 국내 게임사들도 RPG게임을 여럿 출시하게 이르는데

여기서 등장한 3대장이 바로


2008년


아이온


2011년


테라


2012년


블레이드 앤 소울

한때 PC방 점유율을 들었다 놨다 했던 국산 RPG 게임들

지금은 그 위상을 잃어버렸지만

그 당시 인기는 정말 대단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현재까지 PC방 1위를 달리고 있는 바로 그 게임


2011년


라이엇 게임즈라는 회사에서 내놓은

현재 이스포츠하면 떠오르는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지금까지도 PC방 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는 인기 게임인건 분명하나

시즌2~3때의 낭만은 점점 없어지고 있어 안타까운 현실이다



여기까지 1990 후반 ~ 2010 초반의 게임들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다

이런 수많은 재밌는 게임들이 있었기에

우리의 학창시절은 게임으로 울고 웃을 수 있지 않았을까?

그런 생각이 든다


출처: 중세게임 갤러리
4.7 Star App Store Review!
Cpl.dev***uke
The Communities are great you rarely see anyone get in to an argument :)
king***ing
Love Love LOVE
Download

Select Coll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