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모노세키의 복어 이야기

북규슈와 혼슈를 잇는 지리 상의 거점이자

메이지 유신 때 사쓰마 번(가고시마)와 연합해

260년의 에도 막부를 끝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조슈 번(長州藩)의

도시기도 했던 '시모노세키'

간몬 해협을 사이에 두고

가마쿠라 막부를 연

단노우라 전쟁(1185)이 일어나기도 했고


왜란 후의 조선통신사들이 일본 본토에

처음 기항하는 곳이기도 했다

이 곳 시모노세키 바다에는 예로부터

복어가 많이 잡혀 이 지역의 향토음식이었다

관짝 짜놓고 먹는다고 '관 요리'라고 불렀다고

1592년 히데요시가

각 지방의 다이묘들을 들들 볶아 마련한

노인과 아이를 제외한 15만 8천 7백명의 조선 침략군이

이 곳, 시모노세키 항구에 집결했다

일본 각 지역에서 모인 다양한 장정들이었으니

바다를 처음 보는 산골 출신들도 많았는데

복어에 맹독이 있다는 걸 모르는 병사들이

독이 든 알과 내장까지 먹으며 하나둘 죽어나가자

히데요시는 ㅈㄴ 빡쳐서

그렇게 죽고싶으면 조선에 가서 싸우다 죽으라며

복어금식령읕 내리기에 이른다

그 후, 복어를 먹고 죽는 이는 없어졌지만

전쟁이 끝나도 복어 금식령은 300년 동안 남아있었다


근대화 중이던 1882년에도 지방 영주에 의해

복어를 먹으면 구류 or 벌금형에 처한다는 법령이 있었다





이 복어금식령이 해금된 것은 1892년,

당시 내각총리대신 이토 히로부미에 의해서다

총리가 되고 시모노세키를 방문한 이토는

춘범루(春帆樓)라는 여관에 머물게 된다



춘범루는 원래 안과의사 후지노 겐요가 1877년에

'츠키야마 의원'을 개원한 곳인데 그가 죽자

그의 아내 미치가 여관으로 운영하던 곳이다



여튼 이토가 여관에 있을 때

태풍이 불어 조업이 어렵게 되자

대접할 게 없어서 주방장은 금지된 생선인 복어를

이토에게 주었고 이토가 그 맛에 감탄해

이 집 한정으로 복어 판매를 허용했는데

이를 계기로 금식령이 풀리게 된다

그 이듬해인 1895년, 이토 히로부미와 외무대신

무쓰 무네미쓰는 조선에서 벌어진 청일전쟁을 이기고

춘범루에서 청나라 북양함대 대신 이홍장과

정전협정을 맺게 된다

왼쪽 세번째 수염 풍성한 놈이 무쓰 무네미쓰

그 옆이 이토


무쓰는 청일전쟁과 동학농민운동(갑오농민봉기)에 대한

외교 문제를 일본 입장에서 저술한 '건건록'을 남겼다

춘범루 앞에는 회담이 이뤄진 곳을

전시해놓은 '일청교류기념관'이 생겼다

이 조약으로 청은 조선에서 완전 발 빼고

막대한 전쟁 보상금, 요동 반도와 대만을 할양받고

서구 열강과 같은 최혜국 대우를 받게 된다



이홍장은 숨이 턱턱 막히는 요구에 하얗게 질려

"가혹! 가혹!"을 외쳤다고...

쨌든 그 후 복어 요리는 발전했고

점점 다양화해졌다

도쿄의 츠키지 어시장처럼

시모노세키엔 가라토 어시장이 유명한데

이 곳에서 여러 복어요리를 찾아볼 수 있다



일본여행-관동이외갤러리 비기뇽님 펌

Follow
4.7 Star App Store Review!
Cpl.dev***uke
The Communities are great you rarely see anyone get in to an argument :)
king***ing
Love Love LOVE
Download

Select Coll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