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기는 그렇고, 버리기는 아까운 계륵 같은 음식 부위들
1.식빵 테두리
식빵 테두리는 은근 호불호가 갈린다.
그냥 먹는 사람들도 있지만 싫어하는 사람들은 아예 다 떼고 먹는 경우도 있다.
시판 샌드위치 전문점 가게 제품들이라면
높은 확률로 이 테두리가 떼어져 있다.
안먹는 식빵 테두리를 먹기위해 만들어진 요리들도 있는데
'러스크'가 대표적이다.
또한, 테두리를 사각형으로 잘라서 크루통으로 만들어
스프에 넣어 먹기도 한다.
2.피자 테두리
맛있는 토핑이 있는 도우 안쪽 부위에 비해
아무런 내용물이 없는 피자 테두리는 질긴 빵맛 뿐이라서
호불호가 갈린다.
그래서, 빵안에 치즈를 넣거나 갈릭 소스를 찍어서 먹는다.
안먹고 버리는 사람도 있고, 버리기 아까우니 다 먹는 사람으로 나뉜다.
3.생선 머리
'어두육미'라는 고사성어도 있듯이 생선의 머리는 맛있는 부위이지만
눈이 보이는 머리를 먹는다는 비주얼 적 거부감 때문에
먹기를 꺼려하는 경우도 많다.
잘 먹는 사람은 통채로 씹어서 잘만 먹는다.
4.배추 꼬다리
배추의 심지 부분인 배추 꼬다리는
비주얼 적으로 별로인지 안먹고 버리는 사람도 있고
무우 같은 식감이라며 아주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다.
5.새우튀김 머리와 꼬리
새우를 머리와 꼬리를 제거하지 않고
통채로 튀긴 새우튀김은
그냥 머리,꼬리 다 먹는 사람도 있고
제거하고 먹는 사람으로 나뉜다.
5.오돌뼈(오도독뼈)
연골 부위, 현재는 "오돌뼈" 라는 명칭이 더 많이 쓰이고 있으나,
표준어를 제정할 당시에는 오돌뼈보다 오도독뼈라는 명칭이 흔하게 사용이 되었다.
이 부위만 모아서 만드는 요리도 있다.
삼겹살이나 닭을 먹을 때
이 부위를 그냥 씹어먹는 사람도 있고
이빨에 안좋다고 안먹는 사람도 있다.
6.오징어 입
오징어 눈으로 착각하기 쉬운 오징어 입은
손질된 오징어에 제품에는 보통 떼어내고 팔지만
통채로 말린 마른 오징어에는 이 부위가 붙어 있다.
먹을 것도 별로 없고 딱딱한 입은 발라내기도 귀찮아서 곧잘 버리는 부위이지만
이 부위만 모아서 만든 요리들도 있다.
7.치킨무 국물
안먹는 사람은 국물은 안 먹고 버리지만
좋아하는 사람은 치킨무가 담긴 국물까지 마시는 경우도 있다.
치킨무 국물을 마시는 사람의 이야길 들어보면
치킨의 느끼함을 단 한방에 싹 없애줄 정도로 상쾌하다고 한다.
8.회 무채,천사채
회 밑에 깔린 무채나 천사채는
회의 수분이 증발하여 마르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여
산폐를 막아 신선함을 오래 유지해준다.
식품이니 먹어도 상관은 없지만
보통 회를 먹을 때 무채나 천사채는 거의 안먹고
버려지는 게 보통이다.
9.감자껍질
싹이 난 감자에는 솔라닌이란 독성이 있어서
껍질까지 벗겨야 독성을 줄일수 있다고 벗겨먹는 사람도 있고
껍질에 영양분이 많다면서 이 부분을 다 먹는 사람도 있다.
하루 세끼를 감자로만 뗴우거나, 녹색으로 변한 감자를 먹지 않는 한
1~2개 먹는 정도로는 솔라닌에 중독될 염려는 적다.
감자껍질로 만드는 요리들도 있다.
10.게 집게발
게를 먹을 때 몸통이나 길다란 다른 다리 부위에 비해
집게발 부분은 딱딱하고 살을 발라 먹기 힘든 부위이다.
역시 먹기는 그렇고, 버리기는 아까운 부위
싱글벙글지구촌갤러리 eyetoy님 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