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막한 벽에 닿아 그 너머를 보기...


<지지 않는다는 말>을 읽다...

사고의 깊이를 읽다. 음... 깊어지겠지?


(p7 에서...) '군대 축구'는 '고통의 연대'. 고통의 연대란 '연대 기합'.


p9 뛰어볼까 하는 생각이 드는 바로 그 순간이 달리기를 하기에는 제일 좋은 때다.

- 제일 좋은 때, '한 번 해 볼까?'하는 순간. 내게도 지금 이 순간. 2022. 걷지말고 달려볼까? 바로 그 순간.


p18 이 세계가 내 감각을 일깨우는 한, 나는 매 순간 깨어 있을 수 있다.


p31 최고의 삶이란 지금 여기에서 살 수 있는 가장 좋은 삶을 사는 것이리라.

- 지금 가장 좋은 것을 하는 순간, 지금 이 순간의 최고. 매 순간 최고로 좋은 것을 선택하자!! 잊을 수 없는 경험을 하는 매 순간으로...


p37 되돌아볼 때 청춘이 아름다운 건 무엇도 바꿔 놓지 않고, 그렇게 우리도 모르게 지나가기 때문인 것 같다.

- 아무 것도 모르는 채, 길을 잃고 헤매던 시간이 청춘이지. 헤매다 뭔가를 위해 방황하지 않고 맞선다면 그건 중년이라는 거다. 모든 것이 하나로 수렴되는 체념과 기다림은 노년에 온다. 난 지금 중노년에 와 있다. 맞선 것들이 수렴되어가는 과정에...


(p39 에서...) 아이가 사촌들과 놀다가 헤어질 즈음 터뜨리는 눈물. 우리 아이도 그런 때가 있었는데... 작가는 여기서 세상이 제 뜻대로 되지 않아서 흘러내리는 눈물이란다. '뜻대로 되지 않아서...'. 난 그 말에 회한이 느껴지는데... 아이에겐 아쉬움이잖아. 뜻대로 되지 않음과 흘러내린 눈물도 알고보면 결이 다 다르다.


(p41 에서...) '나무와 새 들도'라는 맞춤법, 띄어쓰기. 기억하기. 또 지나갈 모든 것들을 '그저 겪는다'는 의미...


(p42 에서...) 건강한 마음이란 쉽게 상처받는 마음, 일관성 없는 변덕스러움, 변하는 것들에 약해지는 여린 마음. 매번 다른 하늘처럼... 하늘을 힐끔 쳐다보기.


(p48 에서...) '숨말하다'. 김영수만의 언어다. 그가 만든 말. '숨쉬기'처럼 일생동안 총량이 정해진 말하기, 말하는 사람이 말하지 않을 수 없어서 하는 말하기, 말하느 사람에겐 중요한 말하기지만 대단히 개인적이어서 듣는 사람은 이해 못하는 말하기. 음...


p53 시간표를 보고 곧 올 것 같으면 버스를 기다렸지만, 시간이 많이 남아 있으면 무거운 가방이 부담스러웠다. 그러다가 버스 정류장 옆 골목 안쪽에 있는 카페를 보게 됐다.

- 김연수의 문장 중 비문 같은 정리 안 된 글 처음...ㅎ


p54 휴식이란 내가 사는 세계가 어떤 곳인지 경험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나를 둘러싼 반경 10미터 정도, 이게 바로 내가 사는 세계의 전부구나.

- 글에서 언급되었듯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다지만, 이 즈음 나의 세계를 좀 좁혀 볼까나? 그럼... 달리 보이는 것이 있을 수도 있겠다. 지금 내가 생각하는 브랜드와 아이템이란 것의 대안이 어쩌면...


(p65 에서...) 고독은 부자들만 느낄 수 있는 사치스런 감정이라 하고, 왜? 몽골 고비사막은 가야 별 아래 혼자인 자신이 보이니. 연민은 저렴한 감정이라하고, 왜? 도시에서 느끼는, 자신을 자만하게 하는, 자신까지 연민의 대상이 되는 감정이란다.

-고독의 사치와 연민의 저렴함이라...


(p72 에서...) 작가는 2009년이 변화가 컸고 상실의 시대였다고 한다. 그래서 하늘이 더욱 돋보였다고. 여름은 여름답고 가을은 기을다웠다고.

- 그랬구나... 여름과 가을... 내겐 2009년에 대한 기억이... 글쎄... 사람들은 2009년을 힘들고 아팠던 한 해로 기억하는데, 내겐 혼란이었다. 내 문제로 벅차서 주변을 돌아볼 여력이 없었기에. 2009년의 여러 사회적 이슈들을 난 기억하지 못한다. 개인의 문제 앞에 공동체의 문제는 그렇게 사소하다. 내게 2009년은 딱 2월까지. 김수환 추기경 선종만 기억할 뿐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을 이야기 할 때, 난 침묵한다. 자음 모음 조합으로 본 비극일 뿐이라...


(p89 에서...) 노년이 행복한 건 예측 가능하기 때문이란다. 젊음은 우연이 더 크게 작용해서 라는데, 그 우연이 설레게 하지는 않는지...


p128 .... 오래 산 사람은 덜 산 사람처럼 호기심이 많고, 덜 산 사람은 오래 산 사람처럼 사려 깊은 사람이 됐으면 좋겠다.

- 나두~ 호기심 많은 어르신들이 멋지다. 사려 깊은 젊은이가 매력 있다.


(p141 에서...) <한 번 더 읽기를 바라며 쓰는 글>. 이 글은 타이핑을 해 놓아야겠다. 그리고 꺼꾸로 다시 타이핑. 그리고 다시 읽어 보는 거다. 거꾸로 차근차근 읽어보자. 그리고 한 번 더 읽자. 우습다. 를 기획하고 글을 쓸 수 있다는 것, 이 글을 두 번 썼을까? 몇 번 더 썼을까?


p147 언뜻 생각하기에 머리가 이 모든 걸 계산할 것 같지만, 실제로 달려 보면 끊임없이 길을 읽는 건 종아리에서 발바닥에 이르는 부위다. 그래서 겨울에 달리기를 하면 여름보다 다리와 발이 더 피곤하다.

- 몸은 환경을 읽는다. 우리는 오감으로 읽는다. 나의 시대를, 나의 사람을, 나와 너의 모든 것을...


p150 행복과 기쁨은 이 순간 그것을 원하는 사람에게 특별한 이유도 없이 즉각적으로 찾아오는 것이다.

- 그래서 매 순간 행복과 기쁨의 이유를 찾으라. 그러면 늘 행복하고 기쁘다.


(p183 에서...) 작가는 어린 시절 자신을 밖으로 이끈 책들에 대해 말한다. 초등학교 때에는 동네 서점에서 중학교에서는 학교 도서관에서, 고등학교 때 동네에는 없는 책을 사기 위해 시내의 김천서점부터 김천 안에는 없던 책을 사기 위해 대구 제일서적까지. 그러다 서울 교보문고에 빠질 즈음 대학교 도서관을 이용할 자격이 생긴 것이다. 음... 나는? 초등학교 때에 학교 앞에서 팔던 전집을 내 맘대로 계약을 했다. 유년기 동네 엄마 친구의 집에서 생천 처음 그림책을 보았고, 초등학교 때에 말도 못하고 끙끙 앓다가 배달되어온 책으로 들통나 졸이던 순간이 있었고, 중학교 때에는 근방에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도서관이 생겼다. 시험 공부하느라 가끔 갔던 것 같다. 필계일 수 있지만 좀 멀었다. 연합고사가 끝나고 졸업 즈음 학교에서 영화로 본,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책으로 보았는데 어디서 빌려본 것인지 기억에 없다. 고등학교 시절에 학교도서관이 있었으나 유명무실했고, 통학길에 있던 책 대여점에서 '잃어버린 왕국', '유림', '토지'를 읽읽었다. 대하소설급 장편들의 긴 서사가 좋았던 때. 대학에서 난 전공 관련 서적을 보다고 보았지만 과제를 위한 수단일 뿐이었던 듯. 아이들의 책을 읽어 주다가 나를 위한 책을 손에 놓지 않기 시작한 것은 마흔이 되어서였다. 아쉽게도 많이 늦었다. 그 즈음 한창 블로그가 유행했고 스마트폰이 독서 기록장이 되었다.


• 노루지 - 롤지, 일본말 노루(roll)에 종이紙를 붙인 것.

('유산지'라는 것도 있다. 둘 다 빵을 쌀 때 쓰는 종이)


p207 할 수 없는 일을 해낼 때가 아니라 할 수 있는 일을 매일 할 때, 우주는 우리를 돕는다.


(p211 에서...) 길에서 주운 쭉정이 밤톨 하나를 가지고 묘사할 방법을 찾는 작가의 모습에서, 음... 바라볼 여유, 생각하고 고민할 여유, 끄적일 여유, 연관지어 탐색할 여유가 부럽다. 스치는 생각의 꼬리를 잡을 여유, 내게 시간이 없는 것도 아닌데, 단지 여유가 없음인데, 어렵다...


(p220 에서...) '여름의 첫 번째 숨결'이란 이 글은, 작가의 단편집 <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에 실린 '비에도 지지 말고, 바람에도 지지 말고'의 모티브가 된 부분인 듯. 중학교 시절 고아원 아이들 이야기, 동경했던 담배 피는 그 아이의 일화가 있다.


(p234 에서...) 로리 헬고의 '은근한 매력'이라는 책은 내성적인 사람의 성공법을 얘기한단다. 내성적인 사람에 대한 통찰과 장점. 내성적인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왠지 나도? 같이 있어도 혼자 있을 수 있는 사람은 내성적인 사람 중에서 자존감이 풍만한 사람일 게다. 같이 있어도 혼자인 듯 그것을 즐길 줄 아는 사람이 내성적인 사람일 게다. 그리고 그들은 관찰력과 세심함을 가지고 있다고 작가는 얘기하는 듯하다. 작가와 같은 혼자인 시간이 좋은 사람이 본보기가 되는...


p252 야생을 경험한다는 건 감각적 세계를 실시간으로 느낀다는 뜻이었다.

- 세계를 감각한다. 야생을 지각하는 것이 사파리...


(p256 에서...) '진정한 훈련이란 나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연습'. 작가가 달리기의 인터벌 훈련에서 깨닫게 된 것이란다. 객관적인 나, 나 외엔 누구도 나의 속도를 측정해 줄 수 없을 때, 나 스스로 속도를 가늠한 일. 마음이 내게 하는 소리 듣기, 기계의 소리로...


(p268 에서...) "바다는 비에 젖지 않는다"라는 영화 대사가 있었단다. 쓰러진 사람은 더 이상 쓰러뜨릴 수 없다는... 여름의 러너 또한 비에 젖지 않는다는, 이미 땀에 젖어 있기 때문.


(p274 에서...) 18세기 15년간 4천만 보로 34,900킬로미터를 걸으면 측량한 일본의 이노 타다타카. 몸으로 이해한다는 말. 일제시대 도쿄에서 만주까지 마라톤 대회는 제국의 영토를 경험하게 하는 것, 절대 잊지 않도록 각인 시키기. 육체의 지리학.


(p281 에서...) '상상한다는 것은 몸으로 알 수 있는 것 이상을 본다는 얘기다.' 몸의 경험이 다한 후에 그 이상을 상상하게 된다는 것, 막막한 벽에 맞닿아 그 너머를 보는 것.


p287 에밀 자토펙은 "아픔과 고통의 경계선을 넘어서면서 어른들은 아이들과 헤어진다. It's at the borders of pain and suffering that the men are separared from the boys"고 말했다.

- 어른이 된다는 것, 생을 이해한다는 것. 아파봐야 한다. 온전히 맞서 봐야 한다. 몸으로 이해해야 한다. 경험한다는 것이고, 그것이 쌓인다는 것이다.


(p295 에서...) 서울올림픽 당시 함께 사진을 찍었던 그리피그 조이너, 그녀가 마흔을 채우지 못하고 죽었단다. 왜? 그녀와 함께 찍었던 사진은 어디에 있을까? 내 머리 속 한 장면일 뿐인가?


--------

이로써 소설가 김연수의 글을 모두 읽었다고 할 수 있을까? 그의 시를 보지 않았으니, 공저를 제외했으니 그렇다고는 할 수 없지만. 한 가지, 한 작가의 여러 글을 보면 그 작가의 특성과 세계관이 보인다. 한강은 내면에, 김영하는 외면에, 김연수는 그 중간에. 한 사람의 작가로서 자기만의 위치를 잡은 듯.


사진, 역사, 건축, 문학을 아우르는 여행자
Follow
4.7 Star App Store Review!
Cpl.dev***uke
The Communities are great you rarely see anyone get in to an argument :)
king***ing
Love Love LOVE
Download

Select Coll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