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운동의 기본은 스트레칭 ~
유연성이란 관절의 가동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 유연성의 효과 신체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킵니다. 근력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바른 자세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신체의 과도한 사용에 의한 근육통증을 완화시켜줍니다. 관절의 부상 및 근육 결림을 예방합니다. ■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주로 데스크 워크 생활을 하는 사람들은 보다 활동적인 직업생활을 하는 사람보다도 유연성에 있어 훨씬 떨어집니다. 일반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유연성에 있어서는 훨씬 낫습니다. 비만한 사람들은 덜 비만한 사람보다도 유연성이 훨씬 떨어집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우리의 유연성은 조금씩 감퇴되어 갑니다. 어쨌거나, 규칙적으로 스트레칭 운동을 하게 되면 감퇴의 과정이 완화되면서 향상된 유연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 정적인 스트레칭 정적이면서 점진적인 스트레칭은 서서히 관절의 가동 범위 내에서 근육의 길이를 늘려줍니다. 이런 종류의 스트레칭이 가장 권장되는 바람직한 스트레칭입니다. ■ 올바른 유연성 관리비법. 스트레칭 운동은 적어도 1주일에 3번내지 7번정도는 실시되어야 합니다. 운동중에는 워밍업용 유산소 운동 후에 스트레칭을 실시하고 정리운동용 유산소 운동후에 다시한번 스트레칭을 실시하는데 이것은 신체가 따끈하게 더워져 있을 때 훨씬 스트레칭이 잘되기 때문입니다. 스트레칭은 신체 전부위를 포함합니다. 지루함을 피하기 위해서 한 부위에 2~3개정도 다른 형태의 스트레칭 동작을 익힙니다. 스트레칭은 절대 반동없이 실시해야 합니다.이 말은 즉, 스트레칭 하실때 쭉~ 쭉~ 펴시는 느낌으로 하셔 야지 퉁~ 퉁~ 튀기시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스트레칭은 절대로 고통이 느껴지는 포인트까진 하지 않는게 좋으며 근육이 약간 기분좋게 당겨지는 정도까지만 실시합니다. 주기적으로 스트레칭시간과 수준을 늘려나갑니다. 스트레칭은 천천히 호흡을 깊게 하면서 실시하는데 절대로 숨을 참아서는 안됩니다. 스트레칭을 할 때는 골반,허리,다리뒷면(슬와근),다리앞면(대퇴사두근)에 주의를 합니다. 스트레칭 동작은 대략 15초에서 30초정도를 유지한뒤 처음동작으로 서서히 되돌아갑니다. ■ 스트레칭이 포함된 프로그램. 짜여진 운동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습니다. 1.워밍업 (2분~5분정도의 가벼운 유산소운동) 2.스트레칭운동 (신체의 전부위를 스트레칭합니다.) 3.유산소운동 (본격적인 유산소운동을 실시합니다.) 4.근육강화운동 (웨이트 트레이닝) 5.정리운동 (2분~5분정도의 가벼운 유산소운동) 6.스트레칭운동 (신체의 전부위를 스트레칭합니다.) 스트레칭은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각종 근육통을 예방하며 부상을 방지하여 신체의 전반적인 건강을 향상시킵니다.
[참고페이지]